기사 (6건) 리스트형 웹진형 타일형 [데스크칼럼] 코로나19 구원투수로 등장한 신천지 신도 코로나19 펜데믹 사태에 따른 전 세계 백신 개발이 한창이다. 그러나 백신 개발이 안정성까지 입증되고 생산 체계를 갖추려면 상당한 시일이 걸린다는 게 전문가들의 예상이다. 우리나라도 제약회사들이 백신개발에 뛰어들고 있지만 임상시험을 거쳐 시장에 나오기 까지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이란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백신이 전무한 상황에서 현재 대체 치료제로 혈장치료제가 대안으로 떠올랐다.혈장치료제는 완치된 환자의 혈액에서 항체가 들어 있는 혈장을 분리해 환자에게 수혈하듯 투입하는 치료법이다. 코로나19 치료제로 현재 △혈장치료제 △항체치료제 데스크칼럼 | 김용철 국장 | 2020-11-15 14:14 [데스크 논단] 이용수 할머니-윤미향 진실공방에 표정관리 일본 이용수 할머니가 ‘수요시위' 성금 유용 의혹을 제기하자 정의기억연대측이 영수증을 공개하며 해명에 나섰지만 이를 보는 시선은 안따깝기만 하다. '진실공방'으로 번지며 수요집회 본질이 흐려질까봐 우려감이 더 크다. 왜 이용수 할머니는 '30년 동행' 수요집회에 비판에 나선것일까에 의문이 들 수밖에 없다.일단 외견상으로는 정의기억연대를 이끌어간 윤미향 대표가 국회에 입성한 것을 두고 서운함이 묻어난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정의기억연대 전신인 정대협 출신 인사들이 그동안 정관계로 진출하는 모습을 보이며 정치권에 들어가기 위한 곱지 않은 시선 데스크칼럼 | 김용철 기자 | 2020-05-09 01:08 통합당 왜 이러나…막말에 무리수까지 자정능력 상실했나 말 한마디에 사람을 살릴 수도, 죽일 수도 있다. 그래서 ‘말 한마디 천 냥 빚 갚는다’는 속담이 있다. 그러나 정치권을 보면 말 한마디 생각 없이 던지거나 자신의 생각이 논란을 자초할 것이란 생각 없이 SNS에 올리면서 여론의 뭇매를 맞는 상황이 비일비재 일어나고 있다. 최근 미래통합당의 모습을 보면 총선이 15일 남은 상황에서 전체 총선 판세에 악영향을 미칠 만한 막말이나 무리수를 두는 조급증이 엿보인다.31일 통합당 공식 유튜브 채널 '오른소리'의 프로그램인 '뉴스쇼 미래'에 문재인 대통령을 겨냥 교도소로 보내 '무상급식'을 데스크칼럼 | 김용철 국장 | 2020-03-31 17:21 윤석열 검찰號, 현대판 빌라도 되나…신천지 압수수색 신중 중국 우한에서 발생한 코로나19가 국내 확진자 31번을 기점으로 새로운 양상으로 변모해 모든 비난의 화살이 신천지예수교로 빗발치고 있다. 6일 00시 기준 확진 환자수는 6284명 사망자는 42명에 달한다.신천지 대구교회가 코로나19 확산의 지원지로 방역망이 무너지며 진정 기미가 보이지 않자 정치권을 비롯해 기독교계 지자체까지 나서며 검찰을 향해 신천지의 압수수색을 요구하고 있다. 신천지가 제공한 신자 및 건물 명단이 맞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여론도 신천지에 호의적이지 않다. 최근 리얼미터가 CBS 의뢰로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신천 데스크칼럼 | 김용철 국장 | 2020-03-06 16:48 '빈손 회담' 막 내린 韓日 외교장관 회담, 파국 선택한 일본 일본이 한국의 화이트리스트(전략물자 수출심사 우대 대상국 명단) 제외를 결정하는 각의가 열리기 하루 전 1일 외교부 강경화 장관과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이 회담을 가졌지만 양국의 현격한 입장차만 확인한 채 빈손 회담으로 막을 내렸다.양국 외교장관은 서로 악수할 때 눈도 마주치지 않는 등 회담 내내 냉기류만 흘렀다. 미국이 한일 양국에 중재안을 제시했다는 보도도 나와 양국 외교장관의 회담에서 진전이 있을 것이란 일말의 희망도 있었다. 그러나 이날 회담의 결과는 ‘빈손 회담’으로 끝나면서 2일 일본 각의에서 한국을 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 데스크칼럼 | 김용철 기자 | 2019-08-01 20:40 [프라임의 눈] 문 대통령 비핵화 중재안, 韓美 정상회담에 쏠리는 눈 4월10~11일(미 현지시간) 한미 정상이 만나 교착상태에 빠진 한반도 비핵화 해법을 위해 머리를 맞댄다. 이날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에서 북측에 구미가 당길만한 묘수를 도출하느냐에 따라 향후 한반도 정세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은 어떻게든 통일된 비핵화 해법을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그러나 낙관은 금물이다. 현재 미국은 일괄타결 방식인 ‘빅딜’을 고수 중이다. 반면 우리 정부는 미국이 주장하는 ‘빅딜’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보고 단계별 접근방식인 ‘스몰딜’에서 한걸음 나아간 ‘굿이너프딜’( 데스크칼럼 | 김용철 기자 | 2019-03-30 16:30 처음처음1끝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