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에 위치한 증권가 은행들.  [사진 / 시사프라임DB]
광화문에 위치한 증권가 은행들. [사진 / 시사프라임DB]

[시사프라임 / 박시나 기자] 채권은행이 지난 28일 올해 정기 신용위험평가를 통해 부실징후기업이 전년 대비 53개나 감소했다고 선정했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금융권 지원으로 유동성이 풀리면서 코로나19 피해를 입은 중소기업이 생명연장을 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를 두고 금융권은 대출 원금·이자 유예 연장 등으로 인한 '착시효과'라며 대출 원리금 상환 유예 조치 연장이 내년 3월 종료된 이후 부실 위험 대책을 지금부터 고민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올해 부실징후기업은 대기업 4곳, 중소기업 153곳 등 총 157개로 파악됐다. 1년 전과 비교해 대기업은 5곳, 중소기업은 48곳 줄었다. 

대기업은 감소추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중소기업 부실기업이 줄어든 것은  2017년 이후 3년 만이다.

코로나19 관련 금융권의 유동성 지원 효과와 인한 연체율 하락, 회생신청 기업 감소 영향으로 부실기업이 줄어든 것이란 분석이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실제 올해 2월7일 부터 12월 4일까지 시중은행‧제2금융권‧정책금융기관 등이 코로나19 피해 기업의 금융지원 규모는 261조1000억원이다. 이 가운데 전체 금융권의 신규 대출 및 대출 만기 연장은 206조8000억원에 달한다.

이로 인한 기업 업체율은 올해 10월 0.42%로 낮아졌다. 이는 지난해 10월 0.6%에 비해 0.18%p 감소했다.

이자연장 유예도 부실기업을 키울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11월 말 기준 전체 은행권의 이자 납입 유예 규모는 950억원(8천358건)이다.

지난해 11월까지 920개에 달했던 회생기업 신청건도 올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11개(809개) 감소했다.

그만큼 정부 정책에 따라 금융권에서 유동성 자금을 풀어 부실위험 기업에 지원한 효과다.

특히 신용위험평가 과정에서 매년 상반기에 실시하던 대기업 신용위험평가를 하반기로 연기하여 중소기업과 함께 실시했고, 신용위험평가시 코로나19로 인한 일시적 영향은 배제하고 평가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

정상적으로 신용위험평가를 했다면 부실징후 기업이 늘어나는 것도 배제할 수 없다는 의미로 읽히는 대목이다. 

무엇보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기업들의 경영 위기가 본격화되면서 구조조정에 들어갈 경우 실직 사태로 번지는 최악의 상황을 맞이하는 게 정부로선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어 금융지원에 고삐를 쥔 점도 무시할 수 없었다는 얘기도 나온다.

이 지점에서 금융권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대출 원리금 상환 유예 조치 연장이 내년 3월 종료된 이후 금융지원으로 연명했던 부실징후기업의 부실 악화돼 금융권 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한국은행이 지난 24일 공개한 '하반기 금융안정보고서'는 "현재의 건전성 지표가 정부의 금융지원 조치 등으로 실제 리스크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을 가능성에 유의하여야 한다며  각종 금융 지원조치 종료 시 중소기업 실적 부진 우려가 부각되면서, 신용등급이 하향 조정되거나 기업대출 관련 건전성 지표가 악화되면서 신용리스크가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금융당국은 조기에 경영정상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워크아웃 등 구조조정을 신속하게 추진하고, 부실징후기업 중 워크아웃 등을 신청하지 않는 기업에 대해서는 채권은행이 사후관리를 강화하도록 지도한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 시사프라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