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경현대자동차 생산라인. ⓒ산자부
북경현대자동차 생산라인. ⓒ산자부

중국 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에 따른 중국 부품공장 가동이 멈추면서 현대차 국내 생산공장 대부분이 7일 문을 닫는 등 사실상 전면 가동 중단에 들어간다. 쌍용차도 가동 중단에 들어감에 따라 국내 자동차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부품 수급에 차질을 빚으면서 생산라인이 중단된 여파가 고스란히 국내 경제 피해로 이어질 전망이다. 국내 생산 공장 재가동 시점은 중국 부품공장 재가동과 맞물려 있어 중국 정부의 협조가 절실한 상황이다. 하지만 현재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 기세가 꺾이지 않은 상태라 재가동 장기화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기획재정부는 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4차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관련경제영향 점검ㆍ대응을 위한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2020년 제3차 경제활력대책회의를 갖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관련 자동차 부품 수급 안정화 대책에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선 초단기 단기 중장기적 대책이 나왔지만 사실상 중국 협조 없이는 재가동이 쉽지 않다는 게 업계의 목소리다.

업계에선 “중국 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기세가 한풀 꺾이고 중국 정부가 공장 재가동 승인을 허락해야만 국내 생산 공장 라인도 정상화 되는데 지금으로선 재가동까지 기다릴 수밖에 없는 처지”라고 했다.

이날 회의에서 나온 자동차 부품 수급 안정화 대책은 3가지 축으로 단기 수급 안정화 방안으로 △중국 지방정부와 협의 강화 △중국내 생산된 부품은 국내 신속 반입 지원 △근로시간·인력 확보 및 자금 지원, △긴급 수입대체선 확보, 중장기적으로 △스마트공장 보급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기업, 연구기관 합동 ‘수급위기 대응체계’ 가동 등이다.

피해를 최소화하려면 중국 현지 조기 가동이 급선무다. 이에 정부는 모든 가용 가능한 채널을 총동원해 중국 정부의 공장 재가동 승인을 이끌어 내는데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현재 주중대사관 및 민관채널을 총동원해 중국 지방정부에 설명하며 설득하기로 했다. 관련부품이 국내 수입될 경우에는 24시간 통관을 지원하고 입항 전 수입신고 허용, 부품 수입 심사시 서류제출ㆍ검사선별 최소화하기로 했다. 부품 기업의 대채생산을 위해선 시설투자 및 긴급경영안정자금, 특별연장근로를 허용한다.

산업구조 고도화 프로그램에 산은 및 기은이 10조원을, 시설투자 온렌딩에 산은이 1조원, 완성차 업체에 저리 융자 등 시설투자 자금을 신속 지원한다. 현대기아차는 350개 납품기업에 대해 무이자지원․설비투자비 등 1조원 규모 자금 지원한다.

이외에 인력 확충을 위해 자동차 기업 퇴직인력이 즉시 투입될 수 있도록 자동차 퇴직인력 재취업 훈련에 1인당 2백만원, 채용시 인당 연 2250만원도 지원한다.

긴급 수입선 확보를 위해 베트남ㆍ캄보디아ㆍ필리핀 등 중국 外 제3국 부품공장으로부터 긴급 조달된 대체품에 대해 신속한 통관도 지원한다.

현재 부품 수급에 차질을 빚고 있는 와이어링 하네스 등 국내 생산기반을 확충하기로 했다.

이날 다양한 대책을 꺼내놨지만 실제 중국 내 부품 공장이 이른 시일 내에 재가동 하는게 현실적으로 급한 불을 끄는데 최적의 대안이지만 현재 중국 내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이 진정되지 않는 한 조기 재가동은 쉽지 않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무엇보다 현지 인력이 코로나 바이러스 영향으로 현지 근로 확보가 쉽지 않다. 현지에선 생산 재개시 공포감 등으로 출근을 거부하는 근로자 다수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 中 산둥성 청도 소재 K업체의 경우 약 1만명의 근로자 중 15%만 출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추가 임금을 통해 인력을 모집하고 있으나 인력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설명했다.

설령 부품 공장이 재가동된다 해도 현재 육로 항만 공항 등의 운송로가 막혀있거나 축소된 상태라 정상화까진 다소 시일이 걸린다는 전망이다.

국내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정부가 내놓은 대체 생산을 위해선 운영자금 투입과 3국에서 대체수입해도 긴급한 설비 투자와 물류비용 부담이 가중돼 녹록치 않은 상황이다. 이날 정부가 내놓은 대책이 고육지책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대목이다.

업계에선 “중국 의존도로 인한 피해가 국내 자동차 업계에 미치는 파장이 크다는 것이 증명된 만큼 이번 ‘우한폐렴’사태를 계기로 중장기적인 탈(脫) 중국에 나서는 대책을 마련하는 게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시사프라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