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재철 "무기한은 얼토당토 않다… 얘기해볼 것"

미래통합당 김종인 총괄선거대책위원장. (통합당)
미래통합당 김종인 총괄선거대책위원장. (통합당)

[시사프라임 / 임문식 기자] 미래통합당이 추진하기로 한 '김종인 비대위' 안이 비대위원장의 권한과 임기 등의 문제로 시작부터 논란이 되고 있다. 당내 주요 인사로부터 비대위원장이 전권을 요구하는 것은 무리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통합당 지도부는 22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당 소속 의원과 당선인 대상 전수조사 결과를 토대로 가장 많은 지지를 받은 김종인 전 총괄선거대책위원장 체제의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당 소속 현역의원 92명과 당선인 84명을 전수조사한 결과에서 김종인 비대위 찬성 비율은 43%(62명)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기 전당대회를 개최하자는 응답도 31%(43명)로 나오는 등 다른 의견도 적지 않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당 소속 의원과 당선인들이 김종인 비대위를 압도적으로 찬성했다고 보기는 어려운 상황인 것이다.

이런 마당에 김 전 위원장이 비대위원장 수임 조건으로 임기에 제한 없는 전권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당내 반발을 부르고 있다. 당초 김 전 위원장 비대위원 체제에 찬성하는 인사 중에서도 권한 부분에 비판적인 목소리를 내고 있다. 

3선 중진인 김영우 의원은 지도부가 전수조사를 통해 김종인 비대위안을 결정한 것과 관련해 "아무리 급해도 모여서 토론도 제대로 해보지 않고 전화 여론조사로, 그것도 위원장 기한도 정해지지 않은 전권을 갖는 비대위라니"라며 반발했다. 

특히 비대위원장 전권 요구에 대해 "전권을 갖는 비대위원장이라니 조선시대도 아니고 참으로 비민주적인 발상"이라고 비판했다. 

김종인 비대위를 추진하는 과정의 절차적인 문제를 지적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이번 총선에서 낙선한 자가 대부분인 현재의 최고위원 지도부에서 당 수습 체제를 급하게 결정해 밀어붙이는 것은 옳지 않다는 것이다. 

이번 총선에서 5선에 성공한 정진석 의원은 최고위의 김종인 비대위 결정에 대해 "집 비우고 떠나는 사람이 인테리어는 고치겠다고 우기는 형국"이라고 비판했다. 

무제한 임기에 대한 논란도 이어지고 있다. 김 전 위원장이 비대위원장을 맡더라도 차기 전당대회까지 임기를 맡아야 한다는 것이다. 조경태 최고위원은 KBS와의 통화에서 "김종인 비대위를 반대하는 것은 아니지만, 비상대책위 임기는 전당대회 전까지로 명확하게 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구 수성을에서 무소속으로 당선된 홍준표 전 자유한국당 대표는 "아무리 당이 망가졌기로서니 기간 없는 무제한 권한을 달라고 하는 것은 당을 너무 얕보는 처사가 아닌가"라며 "그럴 바엔 차라리 헤쳐 모여 하는 것이 바른 길 아닌가. 최소한의 자존심마저 버릴 때는 아니라고 본다"고 했다. 

앞서 당 대표 권한대행인 심재철 원내대표는 의원, 당선인 전수조사에서 비대위 체제와 조기 전당대회 방안 등을 물은 결과 김종인 비대위 체제에 찬성하는 의견이 다수로 나옴에 따라 김종인 비대위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김 전 위원장은 임기에 제한받지 않고, '전권'이 주어지면 비대위원장직을 맡을 수 있다는 입장이다. 그는 한 라디오 방송에서 "전당대회를 7, 8월에 하겠다는 전제가 붙으면 나한테 와서 (비대위원장을 맡아달라고) 얘기할 필요도 없다"고 말했다. 전당대회까지 당을 임시로 맡는 관리형 비대위원장은 맡지 않겠다는 것이다. 또한 권한도 당헌·당규에 구애받지 않는 전권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심 원내대표는 무기한 임기에 대해 23일 "무기한이 가능하겠는가. 얼토당토않은 이야기"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 전 위원장과) 이야기를 좀 해보겠다"고 덧붙였다. 김종인 비대위 체제와 관련해 가장 많은 반발을 부르고 있는 임기 문제와 권한 등에 대해 협상을 통해 조율해 보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심 원내대표는 이날 저녁 김 전 위원장과 만나 비대위원장직 수락을 요청하면서 관련한 세부 문제를 논의할 예정이다. 

김 전 위원장이 통합당의 결정을 수락할 경우 통합당은 '김종인 비대위' 체제로 전격 재편된다. 하지만 총선 공천권 등 당내 의원들을 통제할 수단이 마땅치 않아 당 혁신 추진과 동시에 내부 반발과 갈등을 수습하는 과정에서 적지 않은 진통이 따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프라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