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ML 화성캠퍼스 준공 의미는…삼성·SK 첨단 반도체 동맹 강화
[시사프라임 / 박시나 기자] 세계 최대 노광장비 업체인 ASML이 경기도 화성시에서 ‘화성캠퍼스 준공식’을 열고 국내 반도체 산업의 공급망 안정성 강화가 기대될 것으로 보인다. 또 삼성전자, SK하이닉스는 ASML의 극자외선(EUV) 노광장비의 안정적인 공급으로 미세공정 경쟁력강화도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ASML 경기도 화성시 동탄신도시에 1만6천㎡ 규모의 제조기지를 새로 구축했다. 투자규모는 총 2,400억원으로, 심자외선(DUV)·극자외선(EUV) 노광장비 등 첨단장비 부품의 再제조센터와 첨단기술 전수를 위한 트레이닝 센터 등을 통합한 형태로 구성돼, 하이 NA(High-NA) EUV 노광기 실습과 유지보수, 재제조가 모두 가능한 시설이다.
ASML은 화성캠퍼스를 아시아 핵심 거점으로 삼고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 기업과의 공정 협력 및 기술 교류를 강화할 계획이다. 이어 국내 소재·부품·장비 기업과의 연계 생태계를 구축함으로써 한국 반도체 산업과의 상생형 협력 모델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이번 ASML의 화성캠퍼스는 노광방비를 구입하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의 미세공정 경쟁력이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
부품 재제조·수리센터가 생겼다는 것은 장비 유지보수, 부품 수급 등이 한층 용이해지고,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 트레이팅 센터로 운영 인력 역량이 강화할 뿐 아니라 대응속도도 빨라져 안정성이 향상돼 기술적 우위를 확보할 수 있어 반도체 경쟁력을 한 단계 끌어올릴 것으로 보인다.
중국이 정부의 막대한 투자로 반도체 경쟁력을 끌어올려 삼성전자, SK하이닉스를 추격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화성캠퍼스는 ASML과 양사의 시너지 창출에 일조할 전망이다.
네덜란드가 중국에 반도체 장비 수출길을 막은 상황에서 ASML은 반도체 강국인 한국과의 전략적 중요성이 커질 수밖에 없다. 대당 5000억원에 달하는 첨단 EUV 노광장비를 생산하는 유일한 업체로, 화성캠퍼스를 아시아 허브로 삼은 것은 그만큼 한국 반도체 기업과의 공정 협력강화에 나서겠다는 의미로 읽힌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도 공급망 리스크에서 자유로워지고, 네덜란드 본사에 인력을 파견해 장비 유지 보수에 나섰던 시간 비용을 단축함으로써 기술적 우위를 지속할 수 있다.
안기현 반도체산업협회 사무국장은 <시사프라임>과 통화에서 “ASML이 자가로 한국에 제조 센터 플러스, 서비스 센터를 안정적으로 구축을 하니까 안정적으로 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 반도체 제조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어 “ASML의 경우 화성캠퍼스 준공으로 한국에 안정적으로 정착을 한다는 의미로 받아들이면 될 것 같다”면서 “R&D 센터는 다른 의미를 갖고 있는데 연구소 얘기는 잠깐 나왔는데 아직 구체화되진 않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