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문화유산 시대를 맞아 새로운 혁신에 나선 ‘간송미술관’
훈민정음의 재탄생, NFT로 만드는 한글의 세계화
디지털 세대에 문화보국 정신 계승 발전 계기 마련

훈민정음 해례본 교예본 세트

[시사프라임/김종숙 기자] 테크 미디어 기업 퍼블리시(PUBLISH, Inc)는 22일 간송미술관이 발표한 ‘훈민정음해례본(국보 제70호, 유네스코 세계기록문화유산)’ 한정판 대체불가토큰(NFT, Non-fungible Token)의 발행 및 기술 협력을 맡았다고 밝혔다.

훈민정음해례본은 한글 창제 목적과 원리를 밝힌 문서다. 이번 훈민정음해례본 한정판 NFT(이하 훈민정음 NFT) 발행은 1940년대 일제 강점기, 문화의 가치를 인식하고 문화유산의 보호와 연구에 힘썼던 간송(澗松) 전형필 선생의 문화보국(文化保國) 정신을 담기 위해 추진된다. 간송미술관은 전형필 선생이 세운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적 사립 미술관이다.

훈민정음 NFT는 총 100개가 발행되며, 001번부터 100번까지 고유 번호가 붙는다. 원본 소장 기관인 간송미술관은 해당 NFT가 훈민정음해례본을 발행 대상물로 삼아 한정 발행됐음을 보증하고, 훈민정음 본연의 정통성·희소성을 증명해 디지털 자산으로서 가치를 인정한다.

훈민정음 NFT는 우리 문화에 대한 깊은 애정과 간송의 뜻을 깊이 공감한 우리 문화재 수호·보존·승계에 대한 의지 표명이다. 간송과 함께 문화보국을 실천·공유하려는 인사들과 뜻깊은 교류의 계기가 될 전망이다.

훈민정음 해례본 교예본 세트

이번 훈민정음 NFT는 헤리티지아트가 기획했다. 헤리티지아트는 새로운 시대에 걸맞은 첨단 디지털 기술의 활용으로, 대중이 더 가까이에서 문화재를 접할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로 간송미술관이 설립했다.

퍼블리시는 NFT 발행과 기술 협력을 맡는다. 퍼블리시는 미디어 산업 혁신을 목표로 언론사를 위한 차세대 블록체인 솔루션 제품군과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 현재 △블록체인 기반 언론사 맞춤형 콘텐츠 매니지먼트 솔루션 ‘퍼블리시소프트(PUBLISHsoft)’ △언론인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 분산 신원 증명(DID) 솔루션 ‘퍼블리시아이디(PUBLISHid)’ △미디어 창작자를 위한 NFT 플랫폼 ‘퍼블리시NFT(PUBLISHnft)’ 등을 개발하고 있다.

간송미술관은 여러 각도에서 논의를 거쳐 훈민정음을 NFT화하는 것에 대한 4가지 주요 원칙을 정립하고, 앞으로 우리 문화재를 국민 및 세계인과 함께 향유하기 위한 혁신적인 행보를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아래는 간송미술관이 밝힌 훈민정음 NFT화를 위한 4가지 주요 원칙이다.

◇‘훈민정음 NFT화’를 위한 4가지 주요 원칙

간송미술관은 문화보국 정신을 상징하는 ‘훈민정음해례본’을 NFT(대체불가토큰, Non-fungible Token)화함으로써 디지털 자산으로 영구 보존하고 문화유산의 보존과 미술관의 운영 관리를 위한 기금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일생을 바쳐 문화보국 의지를 실천한 문화유산 수호자 간송의 유지를 계승해 훈민정음을 비롯한 민족 문화재를 굳건히 지켜나갈 토대를 만든다.

첫째, 후대에 길이 남길 역사 문화 자산으로서의 가치를 계승 발전시킨다.

둘째, 첨단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NFT를 제작, 세계적인 문화재로 각인시킨다.

셋째, 국보급 유물의 독점적 희소성을 전 국민이 향유할 수 있도록 소장성과 가치를 가진 NFT 기술로 재탄생시킨다.

넷째, 간송의 문화보국 정신을 상징하는 ‘훈민정음해례본’을 NFT화함으로써 디지털 자산으로 영구 보존하고 간송미술관의 운영 관리 및 우리 문화재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홍보를 위한 기금 마련에 기여한다.

저작권자 © 시사프라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