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 11.22  은행권 가계 기업 대출 연체율.  [그래픽=김인성 기자]
23. 11.22 은행권 가계 기업 대출 연체율. [그래픽=김인성 기자]

[시사프라임 / 박시나 기자] 신규 연체채권 규모가 좀처럼 줄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해 연체율도 꺾이지 않은 모습이다. 연체율 상승 우려가 전망되는 가운데 은행권 부실로는 이어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22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신규 연체채권 규모는 2조2000억원을 기록했다. 5월 말 기준 2조1000억원으로 2조원대로 올라선 이후 이런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 1년 전 8000억원대 불과했던 게 1년 사이 1조8000억원 불어난 것이다.

신규 연체율은 0.10%로 전년 동기(0.05%) 보다 0.05%p 증가했다.

연체채권이 늘면서 정리규모도 역시 늘었다. 국내은행이 분기 말 상·매각한 규모는 3조원으로, 전월(1.4조원)대비 1.6조원 증가했으며, 전년 동기(1.7조원) 대비 1.3조원 증가한 수치다. 분기 말 은행에선 상 매각으로 연체채권을 정리하는 규모가 크다보니 연체채권 증가 규모는 오히려 8000억원 줄어든 착시 현상이 벌어진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9월 말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은 0.39%로 직전 분기(6월 말) 대비 0.04%p 상승했다.

연체율이 오른 배경은 꺾이지 않고 있는 고금리와 경기침체가 맞물리면서 연체 수요가 늘어난 영향이란 분석이다.

향후 연체율은 당분간 이런 흐름이 유지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고금리 장기화와 부동산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자영업자 소상공인의 대출 부실 우려, 주담대 등 불어나는 가계대출로 1년 전 수준으로 연체율 하락은 쉽지 않다는 게 금융권의 관측이다.

전문가 사이에선 은행권의 연체율이 관리되고 있어 부실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가계대출이나 기업대출의 연체율이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고 장기 평균 연체율보다 낮다는 게 그 이유다.

석병훈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는 <시사프라임>과 통화에서 “고금리 상황이 오해 지속되고 있어 원금과 이자를 상환하는 부담이 더 길어지다 보니 결국 못 버티고 연체로 넘어가는 경우가 많아졌다”며 “물가가 안정되고 통화정책 기조 전환이 돼서 금리가 내려가기 시작해야만 연체율이 (하락하고) 안정될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지금 연체율이라는 게 코로나19 이전의 평균 연체율보다 기업 대출도 낮고 가계대출도 낮아 은행 부실을 유발할 정도의 수준의 연체는 아니다”고 강조했다.

자영업자 소상공인의 연체율 상승으로 인한 부실 우려에 대해선 “연체율이 장기 추세 평균 연체율보다 낮다는 것은 자영업자랑 소상공인의 경우 개인 및 가계 대출에 포함이 되는 경우도 있고 일부 기업 대출에 포함되는 경우도 있는데 은행권에 대해서는 은행으로 부실이 전이되고 그걸로 위기가 촉발될 거라는 걱정을 할 필요가 없음을 시사하는 것”이라며 불식시켰다.

저작권자 © 시사프라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