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구조・기후변화 선제적 대응 필요
디지털 혁신 추진하며 사이버 보안 강화해야
국내 주식 저평가 원인, 미흡한 주주환원정책
부동산PF부실・높은 가계부채 금융당국의 신속한 대응 중요

24.2.28 간담회 진행 모습 [사진=이가현 기자]
24.2.28 간담회 진행 모습 [사진=이가현 기자]

[시사프라임 / 이가현 기자]  “인구구조 변화, 기후금융, 사이버 보안, AI 금융, 주주환원 정책 강화 등 미래 트렌드에 대해 새로운 성장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28일 연구기관장들과 2간담회를 열고 올해 금융산업의 새로운 트렌드와 금융시장의 대내외 주요 리스크요인을 논의며 이같이 밝혔다.

이날 연구기관장들은 ▲인구구조 변화 ▲기후금융 ▲사이버 보안 ▲AI금융 ▲주주환원 정책 강화 등을 금융산업 트렌드로 선정했다. 이와 동시에 ▲부동산PF 부실화 우려 ▲높은 가계부채 ▲취약차주 금융부담 ▲지정학적 리스크 등 우리 경제에 산재한 대내외 리스크 요인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했다.

연구기관장들은 인구구조, 기후변화 등 이미 예견된 미래의 위험에 대해서는 금융산업의 새로운 성장 기회가 될 수 있도록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AI금융 등 디지털 혁신을 추진하면서 사이버 보안도 강화해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에 대해 이복현 금감원장은 “인구구조의 변화로 인해 금융산업에도 자산규모 축소, 자본시장 위축 등 부정적 영향이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젊은 세대의 적극적인 투자 성향 및 높은 신기술 수용성, 개선된 건강 상황과 금융 지식 등을 고려할 때 지금의 인구구조 변화를 금융산업의 체질을 개선할 기회로 만들 수도 있다”며 “금융감독원은 인구구조 등 미래 사회 변화에 대해 중장기적 관점에서 대응하고자 1월 미래금융연구팀을 신설해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고 했다.

기후금융과 관련해서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탄소배출 측정 노하우 제공 등 컨설팅을 보다 확대하고 금융권의 기후리스크 관리 체계도 국제감독기준에 맞춰 고도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했다.

이 원장은 또 “디지털신기술 활용이 가속화되며 해킹, 디도스 등 사이버 공격 시도가 증가함에 따라 사이버 보안의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최근 은행권 대상으로 실시한 블라인드 모의해킹에서 디도스 공격에 대해서는 매우 신속히 대응되었으나 해킹에 대해서는 일부 취약점이 발견되었다”며 “앞으로도 이러한 실전훈련을 제2금융권까지 확대하는 등 IT 안정성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어 “생성형 AI 역시 금융산업 혁신의 촉매제가 되고 있으나 정보보호 및 보안문제, 알고리즘 오작동, 책임소재 등 새로운 리스크도 제기되고 있다”며 “금융권과 학계, 산업계와 긴밀히 소통하고 글로벌 규제 당국과 협력을 통해 내부통제 모범사례를 공유하는 등 금융권의 건전한 AI 활용 생태계가 조성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국내 주식시장의 저평가를 유발하는 원인으로 국내 상장기업의 미흡한 주주환원 정책을 지목하며 “배당 제도 개선 등 주주환원 제고방안, 주주총회 내실화, 주주와 이사간 소통 촉진 등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는 기업지배구조가 정착되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했다.

연구기관장들은 부동산 PF 부실화 우려, 높은 가계부채, 취약차주 금융부담, 지정학적 리스크 등 대내외 리스크가 산재한 상황으로 금융감독 당국의 선제적이고 신속한 대응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기라고 설명했다.

박종규 금융연구원장은 “인구구조변화와 저탄소 경제전환에 대한 선제적 대응이 중요하다”며 “금융회사의 경영실적 위축 및 수익성 악화 가능성 등에 유의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른 수익원 다변화, 새로운 비즈니스모델 개발 및 리스크관리 강화 등을 적극적으로 도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허용석 현대경제연구원장은 “국내 금융시장은 금융의 디지털 혁신·성장을 뒷받침하면서 안정성 또한 높여야 하는 상황이다”며 “금융시스템 전반의 리스크 완화를 통한 금융시장 신뢰성 강화, 대외 리스크 국내 전이 예방, 對 중국 리스크 대응력 확충, 철저한 민간신용 리스크 관리 등을 강화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에 대해 이 원장은 “PF 사업성을 엄정히 평가할 수 있도록 평가기준을 개정하고 있으며 이를 토대로 사업성이 현격히 부족한 사업장에 대해 금융회사가 충분한 충당금을 쌓도록 하고 정리・재구조화를 유도해 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가계부채는 “DSR 제도를 내실화해 차주 채무상황능력에 기반한 대출관행을 확립해나가고자 한다”며 “서민과 취약계층의 채무상환능력 악화에 대비해 공적・사적 채무조정 활성화 등을 통해 차주의 신용회복 및 재기를 적극적으로 지원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원장은 “현재의 불확실성에 대해서는 손실흡수능력을 키워 철저히 대비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미래의 트렌드에 대해서는 새로운 성장의 기회로 활용해야 할 것”이라며 “금융감독원도 종합적인 관점으로 미래 사회 변화에 대응하겠다. 간담회에서 제시된 의견은 향후 금융감독원 업무에 반영해 나가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 시사프라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