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당일 오전 기자회견 알리고 기자들 질문도 안받고
온라인 중심으로 불매운동 확산에 급하게 기자회견

SPL 안전사고 관련 대국민 사과하는 허영인 SPC그룹 회장 및 경영진.  [사진=SPC그룹]
SPL 안전사고 관련 대국민 사과하는 허영인 SPC그룹 회장 및 경영진. [사진=SPC그룹]

[시사프라임 / 김용철 기자, 고문진 기자] ‘SPL 평택공장 산재사망사고’와 관련 허영인 SPC그룹 회장이 대국민 사과를 했다. 그러나 당일 기자회견 공지를 알리고 기자들의 질문도 받지 않겠다고 해 진정성에 의문이 든다. 이번 기자회견은 SPC 불매운동 등 여론이 악화된 것에 따른 것으로 소나기를 피하기 위해 급조한 것이란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됐다.

21일 허 회장은 서울 양재동 SPC본사에서 대국민 사과 및 재발방지 대책을 발표했다.

허 회장은 “이번 사고에 대한 책임을 통감하며, 국민 여러분의 엄중한 질책과 지적을 겸허히 받아들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특히, 고인 주변에서 함께 일했던 직원들의 충격과 슬픔을 회사가 먼저 헤아리고 배려하지 못해 진심으로 사과 드린다”고 고개를 숙였다.

이어 “다시는 이러한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총 1,000억원을 투자해 그룹 전반의 안전경영 시스템을 대폭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허 화장은 앞서 지난 16일 사고 바로 다음날 직접 유가족들을 조문해 사과하고, 17일 사과문을 발표한 바 있다. 

◆허영인 SPC그룹 회장 사과문, 싸늘한 반응

그러나 노조와 유족은 진정성 있는 사과로 받아들이지 않은 모습이다. 사망사고가 난 현장에서는 사고기계 바로 옆에서 전날 동료를 잃은 직원들에게 생산목표를 채우기 위한 작업을 진행시켰다.

게다가 슬픔을 안고 있는 유족에겐 빵을 만들다 숨졌는데도 답례품으로 나눠주라며 빵을 보내 공분을 샀다. 여론이 악화되며 불매운동 확산 조짐이 보이자 부랴부랴 이날(21일) ‘대국민 사과 기자회견’ 공지를 내고 진행했다.

문제는 보통 기자회견 전날에 공지를 내보내는 게 통상인데, 이날 오전에 기자회견 공지를 내린 것도 이상했지만, 국민적 관심사가 큰 사안임에도 기자들을 향해 질문을 받지 않겠다는 등 사과와는 거리가 먼 모습을 연출했다. 특히, 허 회장은 사과문만 낭독하고 바로 기자회견장을 빠져나가는 모습을 보여 사과의 진정성이 묻어나지 않는다는 반응이다,

문병호 공동행동 간사는 <시사프라임>과 통화에서 “진정성 있는 사과와 이게 대책이 명확한 건지에 대한 의구심을 제시할 수밖에 없다”며 “당장 공정을 바로 세우지 않고 하루 더 생산을 한다거나 평택 레시피 공장 안에 사고 난 기계 말고도 반죽 배합기 등 여전히 특별 안전점검 없이 돌아가고 있는 상황 등을 비춰볼 때 이게 진정성 있는 건지에 대한 의문이 든다”고 지적했다. 이어 “SPC그룹이 당장 사고가 난 거에 대해서 표면적으로 사과하고 이런 대처에 익숙해져 있다”면서 “기자회견을 하면서도 회장 사진에나 신경 쓴 이런 의전 태도 만 중시하는 등 이런 경향이 계속되고 있는 거 아니냐라고 볼 수밖에 없다”고 쓴소리를 했다.

22.10.20. 서울 양재동 SPC 본사 앞 비석에 붙은 성공회대 노학연대모임 가시의 대자보. [사진=고문진 기자]
22.10.20. 서울 양재동 SPC 본사 앞 비석에 붙은 성공회대 노학연대모임 가시의 대자보. [사진=고문진 기자]

◆SPC 불매운동 온라인 중심으로 확산…법적책임 물어야 한다는 목소리도   

산재사망하고 이후 트위트 등 SNS를 중심으로 불매운동에 동참하는 시민들이 늘고 있다.

한 트위터 이용자는 “숨이 턱 막힌다. SPC가 만든 샌드위치…이걸 어떻게 먹을 수 있겠나” 라며 샌드위치 사진을 올려 공유했다.

다른 업체들은 불매운동 불똥이 튈지 상황을 예의주시 하고 있다. 한 소비자가 ‘맘스터치에 SPC제품을 사용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맘스터치는 “SPC제품을 사용하고 있지 않음을 안내드린다”며 “자세한 정보는 대외비로써 공개 드리지 못하는 점 양해 부탁드린다”고 했다.

트위터에는 SPC그룹 브랜드들이 공유되고 지하철 로비에는 입간판이 등장하는 등 불매운동 근황을 알리는 이용자들이 속속 동참하는 모습이다.

이번 산재사망사고로 SPC그룹이 법적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목소리도 들린다. 일각에선 SPC그룹에 법적 책임을 묻는 것은 어렵다는 주장도 있다. 다만 고용노동부 조사를 통해 SPC가 SPL의 실질적인 관리자 역할을 했고 안전조치를 내릴 책임이 있다는 결론이 나면 조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정미 전 정의당 국회의원은 “중대재해처벌법은 처벌이 있을 때 더 강력한 예방이 가능하다는 점을 보여줘야 한다”며 SPC에 법적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SPL은 물론 SPC 전 계열사에 전반적인 특별근로감독을 실시해 안전 예방이 제대로 되고 있는지 반드시 밝혀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프라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