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체율, PF 부실 리스크 우려에 충당금 늘어날 듯

7대 상장사 금융지주 대손충당금 규모.  [그래프= 김인성 기자]
7대 상장사 금융지주 대손충당금 규모. [그래프= 김인성 기자]

[시사프라임 / 박시나 기자]  7대 상장 금융지주사(KB, 신한, 우리, 하나, DGB, BNK, JB)의 1분기 대손충당금 규모가 2조원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4분기부터 연체율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고,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우려가 커지고 있어 이 같은 기조를 이어갈 전망이다.

금융권도 대손충당금 적립 기준을 최대한 보수적으로 산정토록 권고할 계획으로 알려진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금융지주가 자체적으로 마련한 예상손실 전망모형을 점검한 뒤 2분기 충당금 규모를 권고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지주사도 금융당국의 권고에 따라 2분기 충당금 규모를 더 늘릴 것으로 전망된다.

윤종규 KB금유지주 회장은 싱가포르서 열린 ‘Invest K-Finance: Singapore IR 2023’행사서 “KB금융은 금융당국과의 긴밀한 협조 하에 그룹차원에서 발생 가능한 모든 변수를 고려해 선제적으로 충당금을 쌓아 미래 불확실성에 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금융지주사들이 충당금 쌓기에 적극 나서는 것은 금리상승과 경기 하강 국면에 따른 건전성 악화 우려에 대비해 보수적인 관점에서 안정적 리스크 관리 역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올해 1분기는 역대급으로 불릴 만큼 충당금을 대폭 늘렸다. 올해 1분기 7대 상장 금융지주사의 대손충당금 규모는 2조594억 원이다. 이는 지난해 1분기 8790억 원의 2.3배에 달한 규모다.

KB금융지주 신용손실충당금전입액은 6682억 원이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1458억 원 대비 4.5배 증가한 수치다. 이 중 대손충당금은 6439억 원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충당금 규모를 대폭 확대한 것은 부실 PF 리스크 우려가 커지고 있어 선제적 관리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신한금융그룹은 4610억 원의 대손충당금을 적립했다. 전년 동기 2434억 원 대비 89.4% 증가했다. 이 가운데 신한은행이 1785억 원을 적립했다.

하나금융지주는 대손충당금 전입액은 3430억 원이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1650억 원 대비 107.9% 증가했다. 이 중 하나은행은 올해 1220억 원의 대손충당금을 적립했다.

우리금융지주는 2610억 원의 대손 비용을 적립했다. 전년 동기 1660억 원에서 57.4% 증가한 수치다.

충담금 적립에 잠재적인 PF 부실 리스크와 가파르게 상승중인 연체율이 거론된다.

이들 지주에 속한 은행들의 연체율도 높아졌다. KB국민은행의 1분기 연체율은 지난해 말 4대 시중은행 가운데 유일하게 0.1%대를 기록하다 올해 들어 0.2%대로 높아졌다. 신한은행과 우리은행의 연체율은 1분기 각각 0.28%로 지난해 4분기보다 0.06%포인트씩 올랐다. 하나은행은 지난해 말 0.2%에서 1분기 0.23%로 0.03%포인트 높아졌다.

DGB금융지주는 1분기 대손충당금으로 1104억 원을 쌓았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427억 원 대비 2.6배 급증했다. 연체율도 2배 이상 상승했다. 지난해 0.42%에서 올해 0.96% 상승했다.

BNK금융지주의 대손충당금은 1249억 원으로,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818억 원 대비 52.6% 증가했다. 연체율은 증가 추세다. 지난해 1분기 0.31%에서 올해 0.56% 상승했다.

JB지주의 대손충당금 규모는 903억 원이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365억 원 대비 2.5배 증가한 규모다. 연체율도 가파르게 상승 중이다. 지난해 1분기 0.2%에서 올해 0.88%로 증가했다.

금융당국은 부실 PF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해 지난달 말 PF 대주단 협의체를 가동했다. 협의체에 속한 5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NH농협)는 각 1000억 원씩 출자한다.

최정욱 하나증권 팀장은 “순이자마진(NIM) 추가 하락이 예상되는데다 유가증권 관련익도 1분기보다는 크게 적어질 것으로 추정되는 만큼 1분기에 적립한 대규모 보수적인 충당금 기저 효과로 인해 대손비용이 다소 낮아질 수 있다”며 “PF 대주단 협의체의 사업정상화 이행 여부 및 속도 등이 주요 관심사항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시사프라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