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0.16. 청량리 일대 아파트 단지 및 시공 중인 아파트. [사진=임재현 기자]
2022.10.16. 청량리 일대 아파트 단지 및 시공 중인 아파트. [사진=임재현 기자]

[시사프라임 / 박시나 기자] 일부 증권사의 부동산PF(프로젝트파이낸싱) 연체율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서 선제적 조치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이에 금융당국이 증권사 연체율 관리에 나섰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부동산PF 대출 잔액은 131조원을 돌파했다. 연체율은 2%를 넘어섰다. 특히, 증권사의 연체율이 심각 수준이다.

증권사의 대출 잔액은 3월 말 기준 5조3000억원으로, 이는 자기자본(76조2000억원) 의 1.1%에 불과하다. 다른 업권에 비해 적은 편이지만 연체율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어 ‘비상등’이 켜진 상태다.  

3월 말 기준 은행의 부동산PF 연체율은 0%대, 여신전문금융사 4.20%,  저축은행 4.07%, 보험 0.66%에 불과한 반면 증권사 부동산PF 연체율은 15.88%로 가장 높아 심각한 수준이다. 지난해 말 10.38%와 비교해 5.50%p 늘었다. 

이처럼 연체율이 늘어난 것은 지난해 부동산 침체로 인해 자금 회수에 문제가 생긴 부동산PF 사업장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한국신용평가는 보고서에서 지난해 4분기 부터 부동산PF 자산건전성 지표가 하락 추세가 지속되고 있어 대형사는 해외 부동산 익스포져, 중소형사는 브릿지론, 중/후순위 우발부채 양적부담 및 질적 위험수준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금융당국은 증권사 부동산PF 부실 문제가 심각해지자 선제적 대응에 나서기 위해 증권사 CRO와 부동산 익스포져 리스크 관리 강화에 나섰다.

황선오 금감원 금융투자 담당 부원장보는  ‘증권사 부동산 위험노출액(익스포져) 리스크 관리 강화 간담회’에서 “과도한 연체율이 지속되면 증권업 평판 약화로 자금조달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며 “회수가 불가능하다고 판단돼 자산건전성을 추정손실로 분류한 부실채권은 조속히 상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사업성 저하로 부실이 우려되는 PF대출은 외부 매각이나 재구조화 등을 통해 신속히 정리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해 달라”고 요청했다. 아울러 대출만기 연장, 인허가 지연 등으로 사업 진행이 불투명한 브릿지론에 대해서는 대손충당금을 충분히 적립해달라”고 했다.  

 

 

저작권자 © 시사프라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