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감소로 제조업 부진 취업자 수 감소
기재부, 경제체질의 구조적 개선에 주력

23. 4.14. 무역 수지 추이.  [그래프=김인성 기자]
23. 4.14. 무역 수지 추이. [그래프=김인성 기자]

[시사프라임 / 박시나 기자] 정부는 넉 달째 국내 경기 둔화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1월 ‘경기 둔화 우려 확대’에서 2월 ‘경기 둔화’로 수위가 높아진 이후 4개월째 경기 둔화 판단을 내리고 있다. 경기 둔화 흐름은 수출 감소가 직접적 영향이 크다고 판단하며 제조업 부진이 길어지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최근경제동향 5월호를 발간하고 “최근 우리 경제는 물가 상승세가 지속적으로 둔화되는 가운데 내수는 완만한 회복세가 이어지고 있으나 수출 및 설비투자 부진 등 제조업 중심의 경기둔화 지속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경기 회복의 발목을 잡고 있는 것은 수출 감소로 인한 제조업 부진을 꼽는다.

올해 5월10일까지 수출은 2154억 달러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2.9%(319.3억 달러↓) 감소했다. 수입은 2448억 달러로 같은 기간 대비 5.1% 줄었다. 이로 인한 무역수지는 294억 달로 14개월 연속 적자를 이어가고 있다.

수출 감소는 자동차 및 부품 증가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무선통신, 디스플레이, 컴퓨터 등 IT제품 수출이 큰 폭으로 줄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양준모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유럽의 반도체 장비 업체와 연계한 중국 등의 유럽 진출 가능성으로 메모리반도체 경쟁이 치열해 져 국내 업계가 위기에 직면할 수 있다”며 “정부 및 국내 반도체 업체도 경쟁력 확보를 위한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전통적인 수출 효자 지역인 중국의 수출 감소가 직격탄이 됐다. 신남방 정책으로 수출 다변화를 꾀했던 동남아 지역에서도 수출 감소가 두드러졌다.

중국 경제 회복이 더디면서 ‘리오프닝’ 효과를 누리려고 했던 국내 경제에 부정적으로 작용했다. 중국 해관총서는 지난 9일 수입이 2052억 달러로 전년 동월대비 7.9% 줄었다고 발표했다. 7개월 연속 감소세다.

기재부는 “중국경제는 리오프닝 이후 내수 서비스 중심의 회복 흐름 속에 수입 부진이 지속되는 등 본격적 회복에 이르지 못한 모습이다”고 진단했다.

수출 감소는 제조업 부진으로 이어졌다. 고용동향을 보면 4월 취업자 증가폭은 전달(46만9000명)에 비해 11만5000명 줄어든 35만4000명이 증가에 그쳤는데 제조업에서 9만7000명 감소했다. 제조업 감소는 넉 달째 이어어고 있다.

1분기 제조업 생산능력은 전년 동기대비 2.3% 감소, 평균가동률은 70.8%로 전년 동기 78.9% 보다 떨어졌다.

1분기 설비투자는 전 분기대비 4.0% 감소했다. 3월 설비투자지수 역시 기계류(0.5%) 투자가 소폭 늘었으나, 운송장비( 9.7%) 투자가 큰 폭 줄어들며 전월대비 2.2% 감소했다.

소비자물가는 4월 3.7% 상승하며 지난해 2월 3.7%를 기록한 이후 1년 2개월 만에 3%대로 진입했다. 이 기간 물가 상승에 따른 기준금리 인상을 이어오며 물가잡기 총력에 나선 금융당국은 물가 흐름이 지속적 둔화되고 있다고 판단, 2회 연속 동결에 나서면서 금융 및 경기 안정으로 기조를 바꿨다.

소비는 회복되고 있다. 1분기 민간소비는 전년 동기대비 4.5%, 전 분기대비 0.5%증가했다.

4월 소매판매는 소비자 심리지수가 95.1로 전월 대비 3.1%p 상승했다. 방한 중국인 관광객 수는 1년 전보다 1191.8% 상승했다.

기재부는 “소비자심리 지수 상승 및 방한 중국인 관광객 증가는 긍정적 요소지만 백화점 매출 감소는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반기는 회복세를 이어갈 것이란 전망이다. 앞서 KDI는 11일 올해 하반기부터는 중국 경제 회복에 따른 파급효과와 반도체 수출 부진 완화로 경기가 완만하게 회복할 것으로 전망했다. KDI는 “2023년 상반기에는 수출 부진으로 0.9% 성장에 그친 반면, 하반기에는 중국 경제 회복에 따른 영향과 반도체 부진 완화로 2.1%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정부는 확고한 물가·민생안정과 대내외 리스크 관리 하에 경협기반 강화 등 수출·투자·내수 활력 제고와 경제체질의 구조적 개선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 시사프라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