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긴축기조 中 경제 영향 수출기업 부진 이어져
중소기업· 중소법인 연체율 각각 0.49%, 0.51%
“美 기준금리 오른다면 수출기업에 부정적”

23. 9.19, 자료:금감원, 국내은행 원화대출 연체율. [그래픽=박시나 기자]
23. 9.19, 자료:금감원, 국내은행 원화대출 연체율. [그래픽=박시나 기자]

[시사프라임 / 박시나 기자]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이 앞으로 상승할 수 있다는 암울한 주장이 나온다. 유가 상승, 美 긴축기조, 중국 경제 부진 등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로 우리나라 기업의 수출 실적 악화로 이어지고 이에 따른 금융비용을 갚지 못해 연체율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주장이다. 또, 국내 경제가 안 좋다 보니 빚을 제때 갚지 못하고 있는 중소기업 및 영세상인, 중소상공인들의 연체율이 올라갈 수 있다는 것이다.

19일 유가정보 사이트 오피넷에 따르면 18일 기준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11월 인도분 브렌트유 선물은 배럴당 94.43달러로 전 거래일 종가 대비 50센트(0.53%) 오르며 올해 최고치를 경신했다.

뉴욕상업거래소의 10월 인도분 WTI 선물 가격 종가는 배럴당 91.48달러로 전 거래일 종가 대비 71센트(0.78%) 오르며 연중 최고치를 경신했다.

국제유가가 상승세가 이어지며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이로 인한 경기 침체로 이어질 수 있다. 게다가 지속되고 있는 미 긴축기조와 중국 경제 부진 등 악화된 글로벌 경기에 우리나라 수출 회복에 걸림돌로 작용, 수출 기업의 경영 환경에 악재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신세돈 숙명여대 경제학과 교수는 <시사프라임>과 통화에서 “국내 기업의 수출 부진은 녹록치 않은 경영환경에 놓여 있어 기업대출을 갚지 못하는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어 연체율이 올라갈 수 있다”면서도 “지금의 연체율 상승은 글로벌 경기 보단 국내 경제 여건이 좋지 못한 게 크다”고 지적했다.

신 교수에 따르면 국내와 글로벌 비중을 따진다면 7대 3의 비율로 국내 경제가 연체율 상승에 크게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美 FOMC가 기준금리를 한 차례가 인상할 경우 금융당국이 금리 인상에 나선다면 국내 경제가 더 침체될 수 있어 연체율 하락에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

신 교수는 “FOMC가 기준금리를 올린다면 한국은행도 인상을 할 수밖에 없지 않겠느냐”며 “내년 국내 경제가 올해보다 더 나빠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금융당국도 글로벌 긴축 기조에 따른 국내 수출기업의 부진이 연체율 상승으로 이어지는 점에 주목한다.

금감원 은행감독국 건전경영팀 김 모 담당자는 본지와 통화에서 “수출기업들이 이자를 갚아야 연체율이 내려가는데 미국의 긴축 기조와 중국 경제 부진으로 글로벌 경기가 안 좋으면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실제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은 오르고 있다. 이날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7월 말 원화대출 연체율은 0.39%로 전월 말(0.35%) 대비 0.04%p 상승 했다. 전년 동월 말(0.22%) 대비로는 0.17%p 올랐다.

구체적으로 기업대출 연체율은 0.41%로 전년 동월 말(0.24%) 대비 0.17%p 상승했고, 전월 말(0.37%) 대비로는 0.04%p 올랐다. 특히,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이 심상치 않다. 연체율은 0.49%로 전년 동월 말(0.27%) 대비 0.22%p 크게 상승했다. 중소법인 연체율은 0.51%에 달했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0.36%로 전년 동월 말(0.19%) 대비 0.17%p, 전월 말(0.33%) 대비 0.03%p 상승했다.

저작권자 © 시사프라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