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전문가, 과거 전례 대표 선임 통과 가능성에 무게
정치권 외풍 거세 국민연금 반대표 던질 가능성도 배제 못해
주총 이후 이사회 여권 성향 인물로 재편될 전망
KT 이사회 개혁, 국민연금 정부 입김에서 벗어나야

KT사옥.  [사진 / 시사프라임DB]
KT사옥. [사진 / 시사프라임DB]

[시사프라임 / 김용철 기자, 박세연 기자] KT 차기 CEO 최종 후보로 윤경림 KT 그룹트랜스포메이션부문장(사장)이 선택됐다. 임기를 시작하기 위해선 최종 관문인 주주총회를 넘어서야 한다. 표 대결이 예상되는 가운데 일부 전문가 사이에선 그간 반대 입김을 냈던 국민연금이 반대 명분이 사라진 만큼 통과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반대로 국민연금 반대에 우호세력 지분도 등을 돌릴 경우 최악인 대표 낙마라는 초유의 사태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정부, 여당 등 정치권 외풍이 사라지지 않고 있어 윤 사장이 대표가 되더라도 험로가 예상된다. 시민단체 등에선 정치권 외풍에 자유롭지 못했던 KT의 이사회 지배구조를 개혁에 목소리를 내며 국민연금이 정부의 입김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8일 업계 및 전무가 의견 등 취재를 종합해보면 KT 주주총회에서 열쇠는 국민연금, 외국인 지분율이 높은 소액주주, KT 우호지분 등 세 세력 간 표 대결로 압축된다.

국민연금은 KT의 최대 주주로 작년 말 기준 지분은 10.35%이다. 국민연금은 사퇴한 구현모 전 대표가 연임 의사를 밝히고 이사회가 연임 결정에 대해 선정 절차를 문제 삼으며 공개적으로 반대했다. 이사회의 윤 사장 최종 후보 선정에 대한 국민연금이 별 의견을 내지 않았지만 윤 사장이 구현모 전 대표의 오른팔로 여겨지는 만큼 주총에서 반대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주총 당시까지 국민연금이 별다른 의견을 내지 않는 다면 소액주주, KT 우호지분 세력의 동요는 없을 것으로 보이지만 만약 반대 취지의 의견을 낸 다면 특히, KT 우호지분 세력이 국민연금의 입김을 피할 수 없다. 정치권의 외풍이 국민연금에 입김을 넣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국민연금은 현대차의 2대 주주인 동시에 신한금융지주의 최대주주이다.

그럼에도 일부 전문가는 국민연금이 반대 가능성을 낮게 보고 있다.

박주근 리더스인텍스 대표는 <시사프라임>과 통화에서 “여권에서 국민연금에 압력을 넣어서 또 뭔가 메시지를 전달할지 모르지만 개인적 의견 전제로 이렇게 까지 하면 주주, 노조, KT 내부 등 반발이 심할 거다”며 “‘관치’ 논리가 작용하면 상당한 문제가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주총에서 국민연금이 대표 선임에 대한 반대표를 던지더라도 우호지분이 많은 쪽에서 대부분 가결이 된 상황을 비쳐 본다면 선임 가능성이 높다. 이번에는 국민연금이 강하게 반대할 명분이 없을 것 같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말 기준 KT 지분 구조는 국민연금 10.35%, 현대차그룹 7.79%, 신한은행 5.58%, 기타 18,58%, 우리사주조합 0.34%, 소액주주 57.36%이다. 외국인 지분율은 44%에 달한다. KT와 신한은행은 KT의 우호지분으로 분류된다.

소액주주의 움직임도 심상치 않다. 정치권 외풍 영향으로 KT 주가가 떨어지지 KT주주모임에선 소액주주들이 모여 KT 사장 최종 후보자에 찬성표를 모으고 있는 등 집단행동에 돌입한 모습이다. KT주주주모임은 지난달 25일에 개설된 카페다.

윤 사장이 주총을 통과하더라도 정치권 외풍이 지속된다면 이사회 구성이 여권 성향 인물로 재편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사업 진행에 있어 또 다른 산을 만나게 된다. 대표 선임 과정에서 사외이사 8명 중 2명이 사퇴했고, 강충구 의장을 비롯한 3명의 이사가 이번 주총을 끝으로 임기를 마치게 된다. 

이에 따라 윤 사장은 최종 후보 선정 이후 소감에서 정치권 우려와 주주들의 지지를 염두에 두기도 했다.

윤 사장은 “논란이 되고 있는 소유분산 기업의 지배구조 이슈와 과거의 관행으로 인한 문제들은 과감하게 혁신하고, 정부정책에 적극적으로 동참함으로써 KT가 국민기업으로 역할에 충실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주주들을 향해선 “많은 걱정을 하고 계시는데 사업과 조직을 조기에 안착시켜 주주 가치를 제고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경제개혁연대, 금속노조, 민변 민생경제위원회, 민주노총, 참여연대, KT새노조 등 노동시민사회단체들이 이날 개최한 ‘2023년 주주총회, 무엇을 바꾸어야 하는가?’ 좌담회서 이상훈 前 국민연금기금 수탁자책임전문위원은 “최근의 신(新) 관치 논란은 국민연금이 지금까지 국민연금이 이사와 지배주주의 위법 부당한 행위를 시정하려는 노력은 전혀 하지 않다가, 급작스레 소유분산기업의 주주총회를 앞두고 동원되는 행태를 보였기 때문에 발생했다”며 “스튜어드십 코드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국민연금이 정부의 영향에서 독립해 다른 시장 플레이어와 동일한 조건에서 주주로서의 권한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시사프라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